본문 바로가기
경제&정책정보

예정이율이 뭐길래 보험료가 오를까? 시중금리와의 숨겨진 관계

by 톡톡비니 2025. 7. 19.

예정이율이 떨어지면 보험료가 왜 오를까?

“예정이율이 낮아졌대. 그래서 보험료가 오른다는데, 이게 무슨 말이지?”

예정이율이 뭐길래 보험료가 오를까? 시중금리와의 숨겨진 관계

많은 분들이 보험 상담 중 이런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거예요. ‘예정이율’이라는 말 자체가 어렵게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아주 단순한 개념이에요. 오늘은 이 예정이율이란 게 무엇이고, 왜 보험료와 연결되는지를 쉽게 풀어드릴게요.

예정이율이란?

보험회사가 “우리가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를 운용해 어느 정도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예상하는 이자율을 예정이율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보험사가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를 3% 이율로 굴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
미래에 필요한 자금(예: 보험금 지급)에 대비해 덜 걷어도 되는 거예요.

즉, 예정이율이 높으면 보험사가 돈을 잘 굴릴 수 있다는 뜻이고,
이 경우 고객에게는 보험료를 조금만 내도 미래 보험금(고객에게 보상해 주는)이 마련되는 거죠.

예를 들어 계산해 볼까요?

보험회사가 65세에 1억 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해볼게요.

예정 이율 보험사가 지금 걷는 보험료
3.0% 약 770만 원
1.5% 약 870만 원
 

어때요?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보험사가 이자로 벌 수 있는 돈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보험료를 더 걷어야 1억 원을 준비할 수 있게 되는 거예요.

결국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 예정이율
    → 보험사가 굴려서 벌 수 있는 수익
    → 고객에게서 걷어야 할 보험료

이 공식이 바로 보험료 인상의 핵심 이유입니다.

참고로, 예정이율은 시중 금리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최근처럼 저금리 또는 금리 변동이 심한 시기에는 보험사들도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예정이율을 낮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같은 보장을 받더라도 보험료가 예전보다 더 비싸게 느껴질 수 있는 거예요.

예정이율이 뭐길래 보험료가 오를까? 시중금리와의 숨겨진 관계예정이율이 뭐길래 보험료가 오를까? 시중금리와의 숨겨진 관계예정이율이 뭐길래 보험료가 오를까? 시중금리와의 숨겨진 관계

예정이율은 시중금리에 따라 움직인다

예정이율은 보험사가 정하지만, 실제로는 시중금리(시장금리)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아요.

시중금리가 높으면?

보험사가 고객의 돈을 굴려 수익을 더 낼 수 있음→ 예정이율을 높게 책정→ 고객 보험료 낮아짐

시중금리가 낮으면?

투자 수익이 줄어듦→ 예정이율을 낮춰야 함→ 고객 보험료가 오름

보험은 단순히 ‘보장금액’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 보장을 준비하는 금융 구조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정이율이 낮아졌다는 건 보험회사가 고객의 보험료를 운용할 여력이 줄었다는 뜻이고, 그만큼 고객은 더 많은 보험료를 부담해야 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시길 추천드립니다. 하반기에 보험사별로 예정이율이 내려간다고 하니 보험 가입을 고려하는 분이 계시다면 미리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